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

반복문(for, while, do-while) 1.1 for문 for문은 반복 횟수를 알고 있을 때 적합하다. 또한 구조가 직관적이라 이해하기가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구조 for(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③ 조건식이 참일 때 수행될 문장들을 적는다. } 2) for문의 수행 순서 ① 조건문의 '초기화' -반복문에 사용될 변수를 초기화 하는 부분이며 처음 한번만 수행된다. ② 조건문의 '조건식' -이때 조건식의 값이 참이면 반복을 계속 진행 → 조건문의 조건식이 참인 동안에는 반복을 계속한다 -조건식의 값이 거짓이면 for문을 빠져 나간다. ③ 수행될 문장 ④ 조건문의 '증감식' -반복문을 제어하는 변수의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식으로 매 반복마다 변수의 값이 증감식에 의해 변하고 결국 조건식이 거짓이 되어 for문을 벗어나게 된.. 2021. 2. 20.
조건문(if, switch) 1.1 if문 if문은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이며, 다음과 같이 조건식과 괄호로 이루어져 있다. if의 뜻이 '만약 ~라면'이란 뜻으로 '조건식이 참(true)이면 괄호{}안의 문장들을 수행하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1) 형태 //if문 기본 형태 if(조건식){ //조건식이 참일 때 수행될 문장 입력 } if문의 예제) //1. 기본적인 if문 사용 예제 int score = 80; int score2 = 50; if(score > 60){ System.out.println("참, Score가 60보다 큽니다."); //조건식이 참일 때 수행되는 문장 } else { System.out.println("거짓, Score가 60보다 작습니다."); //조건식이 참이 아닐 경우 수행되는 문자 } //2.. 2021. 2. 19.
연산자 1. 연산자 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의미한다. 흔히 사칙연산(+, - *, /)을 비롯해 다양한 연산자들이 있다. 1.1 연산자의 종류 종류 연산자 설명 산술 연산자 +, -, *, /, %, 사칙연산과 나머지 연산(%) 비교 연산자 >, =, 비교 > 논리 > 대입 연산자 순으로 대입은 제일 마지막에 수행된다. 2) 단항(1) > 이항(2), 삼항(3) 연산자 순으로 단항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이항 연산자보다 높다. 3) 단항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제외한 모든 연산의 진행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종류 결합규칙(진행방향) 연산자 우선순위 단항 연산자 ← ++, --, +, -, ~, !, (type) 높음 낮음 산술 연산자 → *, /, % → +, - → 비교 연산자 → , =, insta.. 2021. 2. 18.
형변환(Casting) 1. 형변환이란? 프로그램을 작성하다 보면 타입 간의 연산뿐만 아니라 다른 타입과의 연산을 해야 할 때가 있는데,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 간의 타입을 일치시켜야 하므로 반드시 '형변환'을 해야 한다. 즉, 변수나 리터럴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형변환(Casting)'이라 한다. 2. 형변환의 방법 (타입)피연산자 괄호 안의 타입은 변경하고자 하는 타입을 변환하고자 하는 값의 앞에 괄호 형태로 넣어주면 된다. 이때 사용되는 괄호()는 '캐스트 연산자' 또는 '형변환 연산자'라고 하며, 형변환을 캐스팅(casting))이라고도 한다. 일반적 형변환의 예시 class CastingEx{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double d = 75.4; in.. 2021. 2. 17.
기본형(primitive type) 1. 논리형 - boolean 논리형은 'boolean' 한 가지만 있다. boolean형 변수에는 true와 false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값(default)은 false다. boolean형은 주로 논리구현에 사용되며, 예를 들면 on/off, yes/no와 같은 형태로 쓰인다. boolean power = true; boolean checked = False; //에러 >> 대소문자가 구분되며 true or false만 가능 2. 문자형 - char 문자형도 'char'라는 한 가지 자료형만 있다.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char타입의 변수는 단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char ch = 'A';//문자 A를 char 타입의 변수 ch에.. 2021. 2. 16.
화면 출력과 화면 입력 우리가 출력할 때 주로 사용하는 메소드는 println()다. println()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자동으로 줄바꿈을 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형식으로는 출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같은 값이라도 다르게 출력하고 싶다면? 이를 위해 printf()를 사용한다. printf()지시자를 통해 변수의 값을 여러 가지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이 때 지시자는 값을 어떻게 출력해줄 것인지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1.1 종류 지시자 설명 %b boolaen(true, false) %d 10진수(demical integer) %o 8진수(octal integer) %x, %X 16진수(hexademical integer) %f 10진수(demical float) %e, %E .. 2021. 2. 14.